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오늘은 정치부 이다해 기자와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‘앞다퉈 OOO 추모’오늘이 천안함 사건 12주기죠? <br> <br>오늘 오전 10시 평택 제2함대사령부에서 천안함 희생자 유가족과 천안함 승조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행사가 열렸습니다. <br> <br>Q.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참석했군요. <br> <br>네 두 사람 모두 행사장에서 특별한 발언은 하지 않았는데요, <br> <br>대신 이 대표는 행사가 끝난 뒤 별도로 발언을 촬영해 배포했습니다. <br> 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대표] <br>"북한이 강력한 도발을 감행할 징후가 여럿 나타나고 있습니다. 천안함 46용사의 서해수호 의지를 그대로 계승하는 것이 우리 윤석열 정부의 철학입니다." <br> <br>Q. 천안함 사건 대북, 안보 정책을 얘기할 때 빠지지 않는 키워드기도 하죠. <br> <br>네, 6월 1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데 최근 북한이 신형 ICBM을 발사하는 등 도발을 계속하고 있죠. <br> <br>여야 모두 안보 이슈를 선점하는게 중요한 과제인데요 <br><br>민주당은 "더욱 굳건한 국방태세를 갖춰 다시는 북한이 도발 못하도록 뒷받침하겠다"고 논평을 냈습니다.<br><br>국민의힘은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을 향해 "북한의 위협에 단호히 대처하고 천안함 피격 사과를 요구해야 한다"고 각을 세웠습니다.<br> <br>Q. 어제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했던 박지현 비대위원장, 오늘은 참석을 하지 않았네요 <br> <br>어제 SNS에 천안함과 제2연평해전을 혼동해 잘못된 사실을 썼다가 비난을 받자 사과한 일이 있었는데요 일각에선 그 여파 때문 아니냐는 얘기도 나옵니다. <br> <br>박 비대위원장은 오늘 오전 한 언론사가 주최한 북토크에서 심경 토로를 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박지현 / 더불어민주당 공동비대위원장] <br>"아 이거 진짜 이런 말, 말 하나하나가 부담 조심스러운데 '아, 못해먹겠네' 이런 마음이…. 부담감이 정말 이루 말할 수가 없더라고요." <br> 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문 캠프 출신의 저격. 문재인 대통령 후보시절 캠프 인사가 문재인 대통령을 저격 했나요. <br> <br>지난 19대 대선 때 문재인 민주당 후보 캠프에서 활약했던 신평 변호사입니다. <br> <br>2004년 참여정부에서 공수처를 만들려고 했을 때 초대 공수처장 하마평에도 올랐을 만큼 명실공히 진보 인사로 꼽혔는데요 <br> <br>지난해 7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공개지지하며 문재인 정부를 등졌습니다. <br> <br>[신평 / 변호사(지난해 11월)] <br>"임기 5년 내내 내편, 네편 갈라치기를 해왔죠. 그러면서 강하게 반문정서가 생겨났습니다." <br> <br>Q. 이번에 저격한 건 뭔가요. <br> <br>문 대통령 임기 동안 김정숙 여사가 착용한 의상과 장신구입니다. <br><br>자신의 SNS에 "김정숙 씨가 청와대 특수활동비를 사용해 남편의 임기 내내 과도한 사치를 했다고 한다"고 공개 비판한 건데요<br> <br>"또 하나의 '내로남불'이 부상했다"고 날을 세웠습니다. <br> <br>Q. 내로남불이라고 하는 이유가 있겠죠? <br> <br>과거 문 대통령이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시절 했던 발언 먼저 들어보시죠. <br> <br>[2015년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] <br>"예산을 낭비를 막기위해서 제대로 주제되고 감독되어야하는 것이죠. 지금까지 막대한 특수활동비가 제대로 된 예산 심사 없이 사후 감독없이 그렇게 마구 지출돼 왔지 않습니까." <br> <br>Q. 특활비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감시해야한다 이런 주장을 했네요. <br> <br>네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에도 "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" 공언 했었죠. <br> <br>하지만 청와대가 지난 2월 특수활동비와 김 여사 의전 비용 사용 명세 등을 공개하라는 법원 판결에 항소하면서 또다시 내로남불 비판을 받게 된 겁니다. <br> <br>Q. 항소심 판결 결과가 중요하겠네요. <br> <br>판결 결과에 관계없이 당장 공개되기 어려울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문 대통령 임기가 끝나면 해당 정보들이 대통령지정기록물로 지정돼 최대 15년간 비공개되기 때문인데요 <br> <br>유종의 미를 기대하는 국민들로서는 다소 아쉬운 대목일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네 지금까지 정치부 이다해 기자였습니다.